대주제 | “한반도 평화정착과 재외동포의 통일의식” "Estabilishment of Peace System in Korean Peninsula and Reunification-Consciousness in Overseas Koreans" |
진행기관 | 주최 : 평화문제연구소, 독일 한스자이델재단 후원 : 통일부, 제주도, 재외동포재단, 통일교육협의회 |
일시 | 2005. 4. 18(월)∼4. 20(수) / 해외참가자 체류기간 4. 17.(일)∼4. 22.(금) (5박6일) |
장소 | 제주, KAL호텔 그랜드볼룸 |
개회사 | 현경대 (평화문제연구소 이사장) |
인사말 | 베른하르트 젤리거 (Bernhard Seliger, 독일 한스자이델재단 한국사무소 대표) |
축사 | 김태환 (제주도지사) |
기조발표 | "더 많은 용기, 인내, 지혜가 필요한 남북관계" 이봉조 (통일부 차관) |
1회의 | "북한의 핵보유 선언과 한반도 평화" |
사회 | 송영대 (평화문제연구소장) |
발표 | "북핵능력의 평가와 안보환경에 미치는 영향" 김태우 (국방연구원 연구위원) "6자회담의 전망과 우리의 과제" 이수석 (국제문제조사연구소 연구위원) |
토론 | 전성훈 (통일연구원 연구위원) 이춘근 (자유기업원 부원장) 조건식 (전 통일부 차관) 박승헌 (중국, 연변대 동북아연구원장) |
2회의 | "제주도 '세계평화의 섬' 지정과 동북아 평화" |
사회 | 양영식 (전 통일부 차관) |
발표 | "제주도 '세계평화의 섬' 지정과 남북관계 발전" 고성준 (제주대 교수) "제주도 '세계평화의 섬' 실천방안" 양길현 (제주대 교수) |
토론 | 박성조 (독일, 베를린자유대 교수) 양창윤 (승실대 겸임교수) 박상수 (제주관광대 교수) 정정숙 (동북아시대위원회 전문위원) |
3회의 | "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재외동포의 역할" |
사회 | 전경수 (서울대 교수) |
발표 | "차세대 재외동포사회의 조국관과 통일의식" 조광동 (미국, 한미TV 부사장) "차세대 재외동포사회의 민족교육 활성화 방안" 김광민 (일본, 코리아NGO센터 사무국장) |
토론 | 이종림 (중국, 연변대 교수) 이호남 (일본, 중앙대 연구교수) 김성윤 (단국대 교수) 빅토르 남 (우즈베키스탄 타슈겐트 니자미국립사범대 교수) |
종합토론 | 참가자 전체 |
현장탐방 | 제주 평화박물관, 한림공원 |
기념행사 참가 | <조선향토대백과> 편찬기념회 |
특별연찬 | 통일교육원 |
다음글
이전글